'DevOps'에 해당되는 글 3건

  1. 2020.10.14 Docker 간단 명령어들.
  2. 2020.10.14 Docker에 대해서
  3. 2020.10.14 가상화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

2020. 10. 14. 22:30 DevOps

Docker 간단 명령어들.

반응형

우선 Docker는 docker 를 명령어 맨 앞에 붙인 후 입력 해야한다.

 -> 밑의 명령어들은 모두 docker 명령어 라고 가정.

 

search

 . Docker Hub를 통해서 이미지를 검색 시 사용

 -> ex : docker search ubuntu [리눅스 에서는 앞에 sudo를 붙여야 하는 듯?]

 

pull

 . Git과 유사하게 특정 Image를 다운받아 적용할 때 사용

 -> docker pull 이미지명:태그명 

 -> ex : docker pull ubuntu:latest

 -> docker pull 유저명/이미지명:태그로 특정 유저가 올린 이미지를 받을 수 있음.

 

image

 . 현재 받은 image들의 목록을 보여준다. 특정 이미지명으로 filtering이 가능

 . ex : docker image 또는 docker image 이미지명

 

run

 . docker image를 실행하여 container를 만들고 바로 실행한다.

 -> docker image 옵션 컨테이너명 실행할 이미지명 실행할 파일

 -> ex : docker image -i -t --name hello ubuntu /bin/bash

    -> ubuntu 이미지를 사용한 hello라는 이름의 container의 만든 후 /bin/bash 파일을 실행한다

 

create

 . docker image를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만든다.

 -> ex : docker create 옵션 이미지명:태그명

 

ps 

 . docker ps 옵션

 -> 모든 컨테이너의 목록을 출력한다.

 -> 옵션에 -a를 주면 정지된 컨테이너까지 조회한다.

 

start

 . 정지되어 있던 해당 컨테이너를 시작한다.

 -> ex : docker start 컨테이너명

 

stop 

 . 컨테이너를 정지한다.

 -> ex : docker stop 컨테이너명[혹은 컨테이너 id]

 

restart

 . docker restart 컨테이너명

 -> 특정 컨테이너를 재시작한다.

 

rename

 . 컨테이너의 이름을 변경한다.

 -> ex : docker rename 컨테이너명 새로운 이름

 

rm

 . 컨테이너를 제거한다.

 -> ex : docker rm 옵션 컨테이너명

 -> 만약 해당 컨테이너가 실행중이라면 종료 후 삭제해야함. 혹은 옵션으로 -f를 적용

 

rmi

 . 이미지를 삭제한다.

 -> ex : docker rmi 옵션 이미지명

 -> 옵션으로 -f 적용 시 컨테이너도 강제 삭제된다.

 

diff

 . 

 -> ex : docker diff 컨테이너명

 

-v

 . docker 의 버전을 확인

 -> ex : docker -v

 

참고

 . service docker restart : Docker 서비스를 재시작.

반응형

'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ocker에 대해서  (0) 2020.10.14
가상화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  (0) 2020.10.14
Posted by Sweetmeats_boy

2020. 10. 14. 21:58 DevOps

Docker에 대해서

반응형

 

Docker에 대해서

 . 컨테이너형 가상화기술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다.

 . Docker는 반가상화 보다 좀 더 경량화 된 방식이다.

 . 하드웨어를 가상화하는 계층이 없기 때문에 메모리 접근, 파일시스템, 네트워크 속도가 가상머신보다 월등히 빠르다.

 . 마치 Git에서 관리하는 것과 같이 Docker Image를 관리한다.

 . Docker 자체는 특정 파일  실행 또는 스크립트를 위한 실행 환경을 의미한다.

 -> Docker Container : Docker Image를 실행한 상태 [작동중인 가상환경을 의미하는 듯?]

docker

 

Docker의 장점

 . 쉽고 빠른 실행환경 구축이 가능하다.

 -> 초기 개발환경을 이미지로 만든 후 활용

 . 가볍고 실행속도가 빠르다.

 -> 컨테이너는 일반 가상화보다 memory, storage 소모가 적다.

 . Docker Hub를 통해 검증된 Docker Image가 공유된다. 

 

Docker의 단점

 . Docker 개발 초기 오베헤드가 많을 수 있다

 -> 초반 환경 설정 시 시행착오를 겪거나 등등

 . 리눅스 편향적이다

 ->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linux 기반 OS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.

 

Docker Base Image란?

 . Docker image 중 리눅스의 UserLand만 설치된 파일

 -> UserLand란 OS의 커널과 유저 영역중 유저영역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혹은 라이브러리를 의미한다.

 -> ex : nginx, Redis 등등이 포함된 이미지

 

Docker의 이미지 관리 방식

 . Docker는 Base Image 에서 변경된 점들을 기억한 후 실행시에 Base Image와 합쳐서 실행한다.

 . Image의 구별을 위한 ID는 16진수로 표기한다.

 

Docker의 이미지 구조

 . Docker는 바뀐부분만 생성한 뒤 부모 이미지를 계속 참고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이 방식을 레이어라고 한다.

 

 

Union mount 

 . Docker의 이미지는 읽기전용이며 내용이 변경 될 시 쓰기 이미지를 생성한 뒤 내용을 기록하는 방식

 . 즉 복수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마운트 하는 기능.

 -> 두 파일 시스템에서 동일파일이 존재 시 최근 갱신된 내용을 적용한다.

 . Copy on Write 원칙대로 수행하기 때문에 원본은 유지된다.

 -> Copy on Write : 내용을 쓰기 전에 원본을 복사해두는 방식 

 

 

Union file system

 . Union mount를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

 

 

 

반응형

'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ocker 간단 명령어들.  (0) 2020.10.14
가상화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  (0) 2020.10.14
Posted by Sweetmeats_boy
반응형

우선 가상화란 무엇인가?

가상화란 host 컴퓨터에서 여러개의 os를 가동 시킬 수 있게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로서

하드웨어의 기능을 에뮬레이팅하여 추상화 된 여러개의 게스트 os를 가동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.

 

가상화 기술의 장단점

 . 장점 : 시스템의 확장성 및 유연성 향상, 물리적인 비용 절감

 . 단점 : 성능면에서 다소 손해를 볼 수 있다. 

 

 

가상화의 종류

1. 호스트 OS형 가상화

2. 하이퍼 바이저형 가상화

3. 컨테이너형 가상화

 

 

호스트 가상화란?

 . 물리적인 하드웨어 -> Host OS -> 가상화 소프트 웨어 -> Guest OS 순으로 구성.

 . 호스트 OS형 가상화기술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Virtual Box 같은 가상화 기술이다.

 

호스트 가상화의 장단점

 . 장점 : Host OS 위에 있는 가상화소프트웨어를 통해 GuestOS를 구동하기 때문에 운영체제 선택에 제약이 없다.

 . 단점 : 가상화 소프트웨어 위에 각 가상화 인스턴스마다 GuestOS를 지니므로 성능에서 손해를 본다.

 

하이퍼 바이저형 가상화란?

 . 물리적 하드웨어 -> 하이퍼 바이저 -> GuestOS 순으로 구성

 . 세부적으론 전가상화, 반가상화로 구분된다.

 -> 전가상화 :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 하는 방식.

 -> 반가상화 : 전가상화의 성능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 하지는 않는 방식.

 

하이퍼 바이저란?

 . Host에서 다수의 OS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플랫폼 기술

 . 가상화 머신 모니터 또는 가상화 머신 매니저라고 한다. 

 -> Virtual Machine Monitor / Virtual Machine Manager : 약어로는 VMM

 . Guest OS에 가상 운영 플랫폼을 제공하며 Guest OS를 관리한다.

 

하이퍼 바이저형의 장단점

 . 장점 : 별도의 Host OS 없이 실행되므로 오버헤드가 적고, 효율적인 리소스 사용이 가능하다.

 . 단점 : 머신에 대한 관리 기능이 없기때문에 별도의 컴퓨터, 콘솔 등이 필요하다.

 

컨테이너형 가상화

 . 물리적 하드웨어 -> Host OS -> Dock Engine -> Dock Image

 . 타 가상화 방식과는 다르게 각 Guest는 커널을 공유하기 때문에 Guest OS를 갖지 않는다.

 . 각 Guest는 필요한 라이브러리나 실행 파일 등만 개별적으로 지닌다.

 

컨테이너형 가상화의 장단점

 . 장점 : 다른 가상화 방식보다 성능저하가 적고 빠르다.

 . 단점 : Docker Engine이 Host OS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종속적이다. 또한 컨테이너 별 커널구성이 불가능하다.

 -> ex : linux 컨테이너의 경우 OS에서 커널이 컨테이너를 관리하기 때문에 다른 OS에서는 작동 X

 

반응형

'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ocker 간단 명령어들.  (0) 2020.10.14
Docker에 대해서  (0) 2020.10.14
Posted by Sweetmeats_boy
이전버튼 1 이전버튼

블로그 이미지
Sweetmeats_boy

태그목록

Yesterday
Today
Total

달력

 « |  » 2025.2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
최근에 올라온 글

최근에 달린 댓글

최근에 받은 트랙백

글 보관함